본문 바로가기
🩷 음악 용어

'강조' : 음악에서의 강조 표현! (sf, fp, marcato)

by MIN FLUTE STUDIO 2025. 5. 5.

플룻을 연주할 때 '강조'는 곡에 다이나믹을 주어 연주의 흐름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 

일반적으로 볼륨 조절을 넘어서, 특정 음에 힘과 에너지를 실어주고,  순간적으로 청중들에게 인상을 남기죠. 

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'강조'에 쓰이는 이탈리아 음악 용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⚡️ 1. Accent (악센트)

특정 음을 다른 음보다 강하게 누르듯이 연주

- 일반적인 강조 중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.

- 플룻에서는 텅잉을 조금 더 단단하게 하며 리듬의 방향성과 뉘앙스를 줄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.

악센트 기호

 

 

⚡️2. Marcato (마르카토)

 

명확하게, 뚜렷하게, 강조하여 연주

- 음에 강조의 의미인 밑줄을 긋는다고 생각하고, 한 음 한 음을 또렷하게 눌러주는 느낌으로 연주

- 지속적인 강조가 필요한 구절에 사용

- 음표 위가 아닌 악보 시작 템포 표현과 함께 쓰이기도 함

마르카토 기호

 

⚡️3. sforzando (스포르잔도)

'갑작스럽고 강하게'라는 이탈리어에서 유래

- 영어 forced(센, 강한)의 이탈리아어

- 특정 음이나 화음을 강조할때 사용.

(strong accent on a single note or chord - 출처 : https://thecontentauthority.com/blog/sforzando-vs-rinforzando)

- 상세는 일반적인 'forte'보다 순간적인 충격처럼 느겨지도록 표현

-  플룻으로 표현할 때 강한 혀의 어택과 복식호흡으로 표현할 수 있음

스포르잔도 기호

 

⚡️4. fortepiano (포르테피아노)

'강하게' 연주했다가 바로 '약하게'로 바꾸며 표현

- 감정의 급격한 전환이나 극적인 표현을 강조할때 사용

- 플룻으로 연주할 때는 첫음을 강한 호흡과 어택으로 연주 후 즉시 소리를 줄이는 테크닉으로 구현

포르테피아노 기호

 

⚡️5. rinforzando(린포르잔도)

'강세를 더하다'라는 뜻

- 영어 reinforced(강화된, 증강된)의 이탈리아어 

- 오케스트라나 앙상블이 하나가 되어 일시적인 세기 '증가'를 표현할때 사용

- sforzando가 한 음, 한 화음을 강조하는 느낌이라면 rinforzando는 구간(passage)을 강조하는 느낌으로 쓰임

린포르잔도 기호 및 쓰임 예시

 


 

 

이 표현들은 모두 '강조'를 뜻하지만, 실제 연주나 해석에서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

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, 작곡가가 굳이 다른 용어를 골라쓰는 이유는 미묘한 표현의 뉘앙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accent 상대적인 강조 주변 음들 보다 살짝 더 강하게 눌러주는 일반적인 강조의 느낌
marcato 명확한 강조 accent 보다는 더 뚜렷하고 '분리'된 느낌
전체적인 '리듬감' 강조에 사용
sforzando 순간적인 강조 강한 충격처럼 한 음에만 폭발적인 힘!
fortepiano 강->약 강조 후 바로 소리를 줄임으로써 볼륨의 대비 효과
rinforzando 일시적인 세기 증가 한 음이 아닌 '구간'이 점점 강해지는 느낌

 

플룻에서는 이 차이를  암부셔, 텅잉 어택, 복식호흡의 조절로 섬세하게 표현해내야 합니다.


 

 

음악의 감동은 결국 ‘표현’에 있습니다.

단순히 음을 정확하게 내는 것뿐만 아니라,

각 음표에 담긴 감정과 에너지를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음악은 살아 숨 쉬게 됩니다.

 

강조를 뜻하는 음악용어들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,

곡의 구조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

 

연주자분들께서는 작은 악센트 하나도 무심히 넘기지 말고, 표현의 기회로 삼아보시길 바랍니다!